밖에서 본 관계로 틀린 부분이 있을수 있습니다.
1회와 3회에 한점씩 허용한 삼성.
특히 1회의 실점은 실책성 플레이가 겹치면서 내준 점수라 아쉬운 실점이었다.
거기에 김광현의 공은 완투 페이스를 보일 정도였다.
1회 1사부터 3회 첫타자까지 여섯타자 연속 삼진(한국시리즈 신기록)을 할 때만 해도 말이다.
4회 무사에 첫안타가 나왔지만 후속타 불발과 도루실패로 기회를 날렸다.
레딩이 나름 위기를 잘 막으며 2실점후에는 4회말까지 더이상의 실점이 없었다.
5회에는 선두타자 진갑용에 이은 신명철의 2루타로 추격의 발판을 만들었고, 강봉규의 볼넷으로 무사만루의 기회를 잡는다.
다음타자가 희생플라이로 한점을 추격했지만, 대타 박진만이 3루수 땅볼로 아웃되며 기회가 사라지는 듯 했으나 다음타자는 플레이오프 최고의 타격감을 보인 박한이였다.
2사 2,3루 상황에서 김광현의 폭투에 이은 박한이의 적시타로 역전에 성공한 삼성.
다음타자 김상수를 볼넷으로 내주며 김광현은 마운드를 내려오면서 분위기는 삼성으로 넘어가는 순간이었다.
하지만 2사 만루에서 최형우가 삼진을 당하며 추가점을 내는데 실패한다.
플레이오프 5차전 리뷰글에도 썼지만 중심타선의 한방이 아쉬웠던 순간이었다.
그리고 운명의 5회말이 찾아온다.
나름 잘 막던 레딩이 첫타자를 볼넷으로 내주며 권혁으로 교체되었고, 권혁 역시 볼넷을 내주고, 다시 투수는 권오준으로 바뀐다. 다음 두타자를 플라이와 삼진으로 잡으며 한숨을 돌린 권오준이 최정에게 내야안타를 내주며 오승환으로 바뀐다.
바로 이순간이 감독의 결정적인 패착이었다.
경기를 보면서 오승환으로 교체되는 순간, "아 저건 아닌데"라는 생각이 뇌리를 스쳤고 예상대로 밀어내기 볼넷에 이은 2타점 적시타를 허용하며 역전을 당했다.(결정적인 패착은 오승환의 투입시기였지만 레딩을 내린 순간부터 뭐에 홀린듯이 빗나간 투수교체가 이어졌다.)
이 순간 롯데의 준플레이오프 5차전 투수교체가 떠올랐다.
팔꿈치 수술후 줄곧 2군에 있던 오승환을 그런 위기순간에 올린 것은 제 아무리 돌부처인 오승환이라도 긴장될수 밖에 없는 순간이다. 거기에 팔꿈치 수술전부터 전성기의 구위를 잃어버린 오승환의 공은 김재현의 말처럼 만만한 공이었다.
가뜩이나 혈투를 치른 불펜투수를 한이닝에 네명이나 소모하는 최악의 투수교체를 한 것은 이 경기의 승패를 가른 결정적인 순간이었다.(경기후 인터뷰에서 선동렬 감독도 자신의 실수를 인정했다.)
이어진 6회에 강봉규의 솔로홈런으로 한점차로 추격했으나, 이미 소모된 불펜으로 SK타선을 막기엔 역부족이었고, 6회말 투런 홈런 포함 4실점하며 승부의 추는 한쪽으로 급격하게 기울었다.
8회 박석민의 솔로 홈런이 나왔으나 이미 승부는 기울어진 후였다.
삼성은 1패도 1패지만 투수를 8명이나 썼고, 믿었던 투수가 실점을 하며 남은 경기는 더욱 어렵게 되었다.
반면 SK는 4명의 불펜투수를 썼지만 비교적 편안한 상황이었고 타격도 불붙으며 남은 경기를 좀더 수월하게 풀어갈 수 있는 발판을 만들었다.
1회와 3회에 한점씩 허용한 삼성.
특히 1회의 실점은 실책성 플레이가 겹치면서 내준 점수라 아쉬운 실점이었다.
거기에 김광현의 공은 완투 페이스를 보일 정도였다.
1회 1사부터 3회 첫타자까지 여섯타자 연속 삼진(한국시리즈 신기록)을 할 때만 해도 말이다.
4회 무사에 첫안타가 나왔지만 후속타 불발과 도루실패로 기회를 날렸다.
레딩이 나름 위기를 잘 막으며 2실점후에는 4회말까지 더이상의 실점이 없었다.
5회에는 선두타자 진갑용에 이은 신명철의 2루타로 추격의 발판을 만들었고, 강봉규의 볼넷으로 무사만루의 기회를 잡는다.
다음타자가 희생플라이로 한점을 추격했지만, 대타 박진만이 3루수 땅볼로 아웃되며 기회가 사라지는 듯 했으나 다음타자는 플레이오프 최고의 타격감을 보인 박한이였다.
2사 2,3루 상황에서 김광현의 폭투에 이은 박한이의 적시타로 역전에 성공한 삼성.
다음타자 김상수를 볼넷으로 내주며 김광현은 마운드를 내려오면서 분위기는 삼성으로 넘어가는 순간이었다.
하지만 2사 만루에서 최형우가 삼진을 당하며 추가점을 내는데 실패한다.
플레이오프 5차전 리뷰글에도 썼지만 중심타선의 한방이 아쉬웠던 순간이었다.
그리고 운명의 5회말이 찾아온다.
나름 잘 막던 레딩이 첫타자를 볼넷으로 내주며 권혁으로 교체되었고, 권혁 역시 볼넷을 내주고, 다시 투수는 권오준으로 바뀐다. 다음 두타자를 플라이와 삼진으로 잡으며 한숨을 돌린 권오준이 최정에게 내야안타를 내주며 오승환으로 바뀐다.
바로 이순간이 감독의 결정적인 패착이었다.
경기를 보면서 오승환으로 교체되는 순간, "아 저건 아닌데"라는 생각이 뇌리를 스쳤고 예상대로 밀어내기 볼넷에 이은 2타점 적시타를 허용하며 역전을 당했다.(결정적인 패착은 오승환의 투입시기였지만 레딩을 내린 순간부터 뭐에 홀린듯이 빗나간 투수교체가 이어졌다.)
이 순간 롯데의 준플레이오프 5차전 투수교체가 떠올랐다.
팔꿈치 수술후 줄곧 2군에 있던 오승환을 그런 위기순간에 올린 것은 제 아무리 돌부처인 오승환이라도 긴장될수 밖에 없는 순간이다. 거기에 팔꿈치 수술전부터 전성기의 구위를 잃어버린 오승환의 공은 김재현의 말처럼 만만한 공이었다.
가뜩이나 혈투를 치른 불펜투수를 한이닝에 네명이나 소모하는 최악의 투수교체를 한 것은 이 경기의 승패를 가른 결정적인 순간이었다.(경기후 인터뷰에서 선동렬 감독도 자신의 실수를 인정했다.)
이어진 6회에 강봉규의 솔로홈런으로 한점차로 추격했으나, 이미 소모된 불펜으로 SK타선을 막기엔 역부족이었고, 6회말 투런 홈런 포함 4실점하며 승부의 추는 한쪽으로 급격하게 기울었다.
8회 박석민의 솔로 홈런이 나왔으나 이미 승부는 기울어진 후였다.
삼성은 1패도 1패지만 투수를 8명이나 썼고, 믿었던 투수가 실점을 하며 남은 경기는 더욱 어렵게 되었다.
반면 SK는 4명의 불펜투수를 썼지만 비교적 편안한 상황이었고 타격도 불붙으며 남은 경기를 좀더 수월하게 풀어갈 수 있는 발판을 만들었다.
'야구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시리즈: SK 우승 - 이변은 없었다. (0) | 2010.10.20 |
---|---|
한국시리즈 3차전 - SK 강력한 좌완 불펜진에 농락당한 삼성 타선 (0) | 2010.10.19 |
플레이오프5차전 - 끝까지 한점 승부 (0) | 2010.10.13 |
플레이오프4차전 - 불안한 삼성 불펜, 끈질긴 두산 타선 (0) | 2010.10.12 |
준플5차전 - 이해할 수 없는 투수교체 (1) | 2010.1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