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빅뱅이론

[잡담]빅뱅이론 결방과 뒤늦은 하우스 감상

사용자 삽입 이미지
매주 화요일이면 나에게 웃음을 주는 빅뱅이론이 이번주는 휴방이었다.

한창 프렌즈에 빠져있을 때에도 휴방일이 되면 다음 방송일이 더욱 기다려지곤 했는데, 현재는 빅뱅이론이 나의 그런 기다림을 만든다.
다음 주 제목이 "The Cooer-Nowitzki Theorem"이던데, "쿠퍼-노비츠키 정리"란 말인가?
지금까지 빅뱅이론의 제목들이 거의 다 이런 어려운 제목을 썼던터라 별 거부감은 없지만, 무슨 내용일지는 저 정리에 대해 찾아보기 전까진 예상이 불가능하다는 것이 빅뱅이론의 단점이자 장점이 아닌가 싶다.
대부분의 드라마들이 에피소드 제목만으로 약간의 유추가 가능하다는 것과 비교해 보면 더욱 더 그렇지 않나 싶다.

예전에도 "하우스"를 한번 보려고 시도했었는데 잠깐 보다가 내 스타일이 아닐 것 같아서 접었던 기억이 있는데, 오늘 5시즌 1편을 보고나니 주인공인 하우스 박사 캐릭터만은 내가 딱 좋아하는 스타일인 것 같다.
냉소적이고 미안하다는 말 잘 못하며, 해고에 대한 두려움도 없는 쿨(?)한 성격까지.
독특한 성격의 이 절름발이 캐릭터가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을 받는 이유가 뭘까?
아마 전형적인 주인공의 캐릭터인 착하고 정의감 넘치는 인물들 사이에 하우스 박사같은 냉소적인 캐릭터는 색다른 쾌감을 주면서 희소성까지 있어서가 이닐까?(내가 본 미드에는 한계가 있으니까, 참 현재 베토벤 바이러스의 강마에와 비교하면 비슷할려나?)

내가 좋아하는 신해철씨가 몇번 말했듯이 겸손은 미덕이지, 필수가 아닌데도 인간관계에서나 사회생활에서는 싫은 소리 잘 못하고 남의 비위를 잘 맞추는 사람들이 좀더 원할한 사회생활을 하는 것이 현실이지 않던가.
최근 인기를 끌고 있는 김구라씨의 독설이 주는 쾌감처럼 누구나 좋은 말만 하고 자신의 감정에 솔직하지 못한 채 현실에만 안주한다면 그 얼마나 재미없는 인생이 되겠는가.

"입에 쓴 약이 몸에는 좋다"는 말이 괜히 나온 말은 아닐터이니.

다음주에는 좀더 재밌는 빅뱅이론을 기대하며......